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스프링
- aspect
- MYSQL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aop
- exception
- Spring
- Redis
- 스프링부트
- OOP
- java
- spring boot
- SQL
- http
- 스프링 시큐리티
- Spring Security
- proxy pattern
- 인터셉터
- 트랜잭션
- Interceptor
- RestControllerAdvice
- network
- Filter
- 자바
- git
- mybatis
- response
- 디자인패턴
- 관점지향프로그래밍
- request
Archives
- Today
- Total
장쫄깃 기술블로그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이란? 본문
728x90
린 스타트업 (Lean Startup) 이란?
린 스타트업(Lean Startup)은 에릭 리스(Eric Ries)가 제안한 스타트업 경영 방법론으로, "효율적으로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에 빠르게 적응하는 방식"을 강조한다.
Lean의 사전적 의미는 '여윈, 살이 빠진, 뾰족한, 불충분한, 메마른, 낭비 없는' 등이다. 여기서 린 스타트업의 Lean은 '불충분한, 낭비 없는' 에 가깝다.
린 스타트업의 핵심 개념
- MVP (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
- 완벽한 제품을 개발하기 전에, 최소한의 기능을 갖춘 제품을 빠르게 출시하여 시장의 반응을 확인한다.
- Build - Measure - Learn 사이클
- 제품을 개발(Build) → 사용자 데이터를 측정(Measure) → 배운 것을 통해 개선(Learn)하는 반복적인 과정으로, 빠른 피드백을 통해 제품을 개선한다.
- 피봇(Pivot)
- 시장의 반응이 기대와 다를 경우, 방향을 빠르게 전환하여 새로운 전략을 시도한다.
- Validated Learning (검증된 학습)
- 고객의 행동과 데이터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 결정을 내린다.
린 스타트업의 프로세스
린 스타트업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 아이디어 도출
- 아이디어를 디벨롭(빌드)하여 프로덕트 생성
- 프로덕트의 성과를 측정하여 데이터 추출
- 데이터에서 배울점을 도출
- 배울 점에서 후속 아이디어 도출
- 아이디어를 다시 디벨롭하며 프로덕트를 개선
- 위 프로세스 반복
린 스타트업의 장점
린 스타트업의 장점은 "작게 시작해서 빠르게 성장하는 것"이다.
- 돈과 시간을 절약
- 처음부터 완벽한 제품을 만들기보다, 작은 기능만 먼저 만들어서 사람들이 좋아하는지 확인한다.
- 실패에 대한 빠른 대응
- 고객의 반응을 보고, 문제가 있으면 바로 방향을 바꿔서 다시 시도할 수 있다.
- 데이터를 통한 검증된 사용자 요구사항 파악
- 데이터를 통해 고객의 진짜 니즈를 파악하면서, 점점 더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다.
결국, 적게 투자해서, 빠르게 배우고, 성공 확률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