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Spring
- spring boot
- mybatis
- 관점지향프로그래밍
- Redis
- Interceptor
- 스프링 시큐리티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OOP
- proxy pattern
- 인터셉터
- aspect
- request
- java
- 자바
- RestControllerAdvice
- http
- 스프링
- 스프링부트
- MYSQL
- git
- Filter
- 트랜잭션
- response
- aop
- 디자인패턴
- Spring Security
- exception
- SQL
- network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캡슐화 (1)
장쫄깃 기술블로그

캡슐화(Encapsulation)란? 객체의 속성(data fields)과 행위(methods)를 하나로 묶고, 실제 구현 내용 일부를 외부에 감추어 은닉한다. 캡슐화는 객체 내부의 속성이나 행위를 외부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게 하는 것이다. 흔히 은닉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은닉화란 캡슐화를 통해 얻어지는 '실제 구현 내용 일부를 외부에 감추는 효과'이다. 객체의 속성과 행위를 묶으면 응집도가 올라가므로 자율적인 객체가 된다는 장점이 있다. 자율적인 객체가 되면 다른 객체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자신의 상태를 스스로 잘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 상황에서 캡슐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외부에서 내부 속성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합도가 높아지고 응집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
Programming Language/Java
2022. 4. 19. 1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