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터셉터
- RestControllerAdvice
- mybatis
- java
- OOP
- http
- 스프링
- 디자인패턴
- 트랜잭션
- SQL
- 스프링부트
- Spring
- spring boot
- Redis
- proxy pattern
- 스프링 시큐리티
- 관점지향프로그래밍
- MYSQL
- exception
- Interceptor
- 자바
- aop
- request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aspect
- response
- Spring Security
- Filter
- network
- git
- Today
- Total
목록ETC (13)
장쫄깃 기술블로그
상태 코드는 3자리 숫자로 만들어져 있으며, 첫번째 자리는 1에서 5까지 제공된다. 첫번째 자리가 4와 5인 경우는 정상적인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사이트 관리자가 즉시 알아야 하는 정보다. 1xx (조건부 응답) : 요청을 받았으며 작업을 계속한다. 2xx (성공) :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동작을 수신하여 이해했고 승낙했으며, 성공적으로 처리했음을 가리킨다. 3xx (리다이렉션 완료) : 클라이언트는 요청을 마치기 위해 추가 동작을 취해야 한다. 4xx (요청 오류) : 클라이언트에 오류가 있음을 나타낸다. 5xx (서버 오류) : 서버가 유요한 요청을 명백하게 수행하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1XX : Information responses 상태 코드가 1로 시작하는 경우는 서버가 요청을 받았으며, 서버에 ..

들어가며 HTTP에 대한 설명은 해당 글을 참고 링크 : https://jangjjolkit.tistory.com/12 [Network] HTTP Request/Response 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란 텍스트 기반의 통신규약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규약을 통해 프로그램들이 규악에 맞춰 개발해서 서로 정보를 교환할 jangjjolkit.tistory.com HTTP Request와 Response는 기본적으로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세부적으로 다른 점들이 존재한다. HTTP Request와 Response의 구조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려 한다. HTTP Request 메시지 구조 1. Start Line (시작줄)..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란 텍스트 기반의 통신규약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규약을 통해 프로그램들이 규악에 맞춰 개발해서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되었다. HTTP 동작 클라이언트가 브라우저를 통해서 어떠한 서비스 url을 통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요청(request)를 하면, 서버에서는 해당 요청사항에 맞는 결과를 찾아서 사용자에게 응답(response)하는 형태로 동작한다. HTML 문서만이 HTTP 통신을 위한 유일한 정보 문서는 아니다. Plain text로 부터 JSON 데이터 및 XML과 같은 형태의 정보도 주고 받을 수 있으며, 보통은 클라이언트가 어떤 정보를 HTML 형태로 받고 싶은지, JSON 형태로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