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Redis
- network
- 자바
- mybatis
- SQL
- aspect
- 디자인패턴
- 관점지향프로그래밍
- http
- spring boot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proxy pattern
- aop
- 스프링 시큐리티
- git
- OOP
- exception
- Filter
- 인터셉터
- RestControllerAdvice
- 트랜잭션
- 스프링
- java
- 스프링부트
- response
- Spring
- request
- Interceptor
- Spring Security
- MYSQL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81)
장쫄깃 기술블로그

들어가며 프록시 패턴 (Proxy Pattern)은 객체 지향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객체 간의 간접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패턴이다. 이번 게시글에선 프록시 패턴을 이용하여 전혀 다른 2가지 이상의 요구사항을 구현한 경험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프록시 패턴에 대한 설명은 해당 글을 참고하면 된다. 링크 : https://jangjjolkit.tistory.com/59 [Design Pattern] 프록시 패턴 (Proxy Pattern) 프록시 패턴 (Proxy Pattern) 이란? 프록시 패턴 (Proxy Pattern)은 객체 지향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객체 간의 간접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패턴이다. 여기서 프록시 (Proxy)란 대리 jangjjol..

들어가며 회사에서 진행하는 신규 프로젝트의 AA 역할을 맡아 API 프로젝트를 아키텍처링했다. 기존 프로젝트에서 API 서버와 UI 서버를 분리하고, 레거시 코드를 리팩터링 하는 등 개편과 동시에 기능 개발을 진행하는 프로젝트였다. 필자가 맡았던 프로젝트는 기능이 꽤나 복잡하나 프로젝트였다. 예를 들어, 리뷰를 작성하면 포인트도 주고, 쿠폰도 주고, 등급 점수도 올라갔다. 그런데 이 리뷰 작성을 하는 방식이 총 4가지가 있었다. 혹은 A라는 기능은 메인 페이지, 마이 페이지, 특정 동작 완료 페이지에서 사용했다. 또, B라는 기능은 B-1, B-2, ..., B-10이라는 기능으로 고도화되었다. 왜 이렇게 비즈니스 로직이 복잡하게 기획되었는지는 나중에 생각하고, 당장 이 상황에 맞는 설계가 필요했다. 하..

파사드 패턴 (Facade Pattern) 이란? 파사드 패턴은 여러 개의 저수준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고수준 인터페이스로 묶어주는 패턴이다. 클라이언트가 여러 저수준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려면 여러 저수준 인터페이스를 일일이 호출해야 하는데, 파사드 패턴을 이용하면 고수준 인터페이스의 메소드 호출만으로 한번에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파사드 패턴은 일종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며, 시스템 외부에 제공되는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잡한 내부 동작을 추상화시켜 사용자가 쉽게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객체는 여러 저수준 인터페이스 객체들과 느슨한 의존성을 가지게 된다. 파사드 패턴은 시스템 내부의 다양한 서브시스템들을 감싸고 있는 하나의 파사드 클래스를 정의하며, 해당..

컴포지트 패턴 (Composite Pattern) 이란? 컴포지트 패턴 (Composite Pattern)은 객체 지향 디자인패턴 중 하나로, 복합 객체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객체들을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다룰 수 있게 하는 패턴이다. 컴포지트 패턴은 트리 구조를 가진 객체들을 다루는데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어, 파일 시스템에서 디렉토리와 파일을 구성하는 것과 같이, 여러 개의 객체가 포함된 복합 객체를 처리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코드가 많으면, 코드가 복잡해지고, 많은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컴포지트 패턴은 개별 객체와 복합 객체를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다룰 수 있다. 이 때, 개별 객체는 단순히 자기 자신을 다루는 방법으로 처리되고, 복합 객체는 자신에게 속한 개별 객체를 재귀적으..

프록시 패턴 (Proxy Pattern) 이란? 프록시 패턴 (Proxy Pattern)은 객체 지향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객체 간의 간접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패턴이다. 여기서 프록시 (Proxy)란 대리자, 대변인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말 그대로 원본 객체를 바로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원본 객체에 접근할 수 있는 대리자를 호출하는 패턴이다. 어떤 객체를 호출할 때, 객체를 직접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대리자 객체를 호출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해당 객체가 메모리에 존재하지 않아도 기본적인 정보를 참조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또, 실제 객체의 필요 시점까지 객체 생성을 미루는 지연 초기화 (Lazy Initializing)이 가능하다. 프록시 패턴의 장단점 장점 보안성 향상 원본 ..

TCP/IP 란?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P 네트워크의 두 컴퓨터 간의 연결 지향 통신을 위한 전송 계층 호스트간 프로토콜이다. 가상 포트를 사용하여 두 컴퓨터 간의 물리적 연결을 재사용할 수 있는 가상 종단 간 연결을 만든다. 전송 제어 프로토콜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프트의 핵심 프로토콜 중 하나로, IP와 함께 TCP/IP라는 명칭으로 널리 불린다. TCP는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트라넷, 인터넷에서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간 일련의 옥텟을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한다. IP (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은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하는 정보 위주의 규약..

데이터베이스 인덱스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란 추가적인 저장 공간을 사용해서 테이블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는 자료구조이다.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에는 데이터의 키와 해당 데이터의 물리적 위치가 저장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select 쿼리의 where 구문에 사용될 컬럼에 대한 조회 성능을 개선할 때 사용한다. 인덱스를 사용하는 이유 인덱스는 실제 크기에 비해 크기가 작다. 따라서 메모리에 적재하기가 쉽다. 실제로 주 기억장치 대비 보조 기억장치의 I/O 성능은 많이 떨어진다. 때문에 인덱스를 주 기억장치인 메모리에 적재하고, 원하는 데이터의 물리적 주소를 찾아 접근하는 방법으로 조회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만약에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으면 데이터를 탐색할 때 풀 테이블 스캔(Full Table Scan) 이 발생..

들어가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다중 DB에 접근할 수 있는 설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대략적인 순서로는 application.yml 설정파일에 db 연결정보 작성 Config 파일 생성 service, dao, mapper 파일 생성 테스트 위와 같으며, 패키지 구조도 함께 살펴보겠다. 0. 프로젝트 구조 프로젝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중요하게 봐야할 부분은 Mapper 인터페이스 파일과 쿼리를 작성하는 xml 파일을 DB별로 나눠서 사용할 수 있게끔 나누었다. 1. application.yml 설정파일에 db 연결정보 작성 연결하려는 DB의 접속정보들을 작성한다. 2. Config 파일 생성 Mybatis를 사용하기 위해 HikariCP의 DataSource를 설정하였다. HikariCP에 대한 ..

들어가며 application.yml 이나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DB 접속 정보 또는 키 값을 명시하는 경우 중요한 정보들이 외부로 유출되어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해당 파일의 정보를 암호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이번 게시글에서 사용할 라이브러리는 jasypt(Java Simplified Encryption) 이다. 참조 : http://www.jasypt.org/ Jasypt: Java simplified encryption - Jasypt: Java simplified encryption - Main Jasypt 1.9.3 RELEASED! (May 25th, 2019) [DOWNLOAD and ChangeLogs] [WHAT'S ..

들어가며서비스를 제공하다 보면 운영환경과 개발환경이 서로 다른 경우들이 있다. 예를 들면, 운영 DB와 개발 DB 환경이 다르거나, 로그 레벨을 다르거나 하는 경우이다. 그럴 때마다 매번 application.yml 혹은 logback.xml 파일을 수정할 수 있지만,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실행환경(profile)에 따라 다른 설정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이번 게시글은 스프링 2.4 이상 버전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2.4 버전을 기준으로 application.yml에서 active profile을 설정하는 방법이 바뀌었다. spring: profiles: active: dev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